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박테로신연고

우아한 마님 2024. 3. 3. 21:33

목차



    반응형

    박테로신연고의 무피로신 성분은 세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입니다. 무피로신의 효능과 부작용을 바르게 알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명드립니다.

     

     

    박테로신연고
    박테로신연고

     

     

     

    모낭염 치료동영상

     

     

     

    박테로신연고(15g) Bacterocin Ointment(15g)

     

     

    박테로신연고는 무피로신 성분의 연고입니다. 무피로신은 세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이며 피부의 상처등으로 인한 피부 감염에 사용하는 연고 제형과 과 특정 균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코 안에 사용하는 나잘연고 제형이 있습니다.

     

    연고 제형의 경우 2개월 미만 영유아는 사용하지 않으며, 나잘연고의 경우 12세 미만의 소아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무피로신은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으로 피부 감염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박테로신 연고(15g)는 일반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무피로신 약리작용

     

     

    무피로신의 구조식
    무피로신의 구조식

     

     

     

    무피로신은 광범위한 종류의 세균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입니다.

     

    무피로신은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을 포함한 포도상구균, 기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 그람음성균 등 다양한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냅니다.

     

    주로 피부 등의 상처 및 감염 부위에 소량 도포하여 사용하며, 농가진(고름딱지증), 모낭염, 종기, 감염성 습진, 외상 및 화상 등의 세균성 피부 감염증을 치료합니다.

     

     

    농가진(impetigo)

     

    소아나 영유아의 피부에 잘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피부 감염입니다.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물집 농가진(bullous impetigo)과 비수포 농가진(impetigo contagiosa)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무력증, 발열, 설사 등이 동반되며, 처음에는 작은 물집(소수포)으로 시작되어 큰 물집으로 빠르게 번져가고, 쉽게 터지지만 두꺼운 딱지를 형성하지는 않으며 합병증으로 드물게 패혈증, 폐렴, 뇌막염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낭염(folliculitis)

     

    모낭(피부 속에서 털을 감싸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주머니)에서 시작되는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으로 주로 황색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박테로신연고 성분/함량   

     

     

    무피로신  20mg/g

     

     

    첨가제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 정제수,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박테로신연고
    박테로신연고

     

     

    박테로신연고 효능∙효과

     

     

    주로 상처, 모낭염, 종기, 농가진 등의 피부 감염에 사용 가능하며, 화상에 따른 2차 세균성 피부 감염증에도 사용됩니다.

     

    MRSA 감염 위험이 높은 면역 저하 환자에게 사용하며, 이 환자와 접촉 가능성이 있는 입원 환자 및 보건의료 종사자에 대하여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박테로신연고 용법

     

     

    박테로신연고용법
    박테로신연고용법

     

     

    - 감염 부위에 대하여 거즈 또는 면봉을 이용하여 소량 바릅니다.

     

    - 필요한 경우 연고를 바른 부위에 거즈, 밴드 등을 이용한 드레싱을 해도 좋습니다.

     

    - 일반 연고의 경우 최대 10일간 사용 가능하며, 첫 사용 후 3~5일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 사용을 다시 고려해야 합니다.

     

     

    금기 사항

     

     

    신장 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무피로신 일반 연고에 포함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이 상처를 통해 흡수된 후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무피로신 일반 연고는 2개월 미만 영유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무피로신 나잘연고는 코 안에 손상 부위가 있는 환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무피로신 나잘연고는 12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

     

    • 무피로신을 사용한 후 아나필락시스*, 두드러기, 혈관 부종 및 발진을 포함한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의사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무피로신을 포함한 대부분의 항생제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세균에 의한 설사(C.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위막성 대장염)가 보고되었으며, 증상은 가벼운 설사부터 치명적인 대장염에 이릅니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 후 환자가 설사 증세를 보이면 CDAD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와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의사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무피로신을 포함한 대부분의 항생제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진균(곰팡이) 등을 포함하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거나 완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균(비감수성 균)이 과도하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 무피로신을 상처 부위에 사용한 후 심한 국소 자극을 보이는 경우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 약물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불가피하게 눈에 들어간 경우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

     

    • 무피로신 일반 연고는 노출되어 찢긴 상처 및 손상된 피부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으며, 눈, 코 등의 점막 표면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급성 알레르기 반응의 하나로 매우 위급한 상황을 초래하며 즉각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독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과 어지러움, 정신 잃음, 두드러기, 소양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은 원인 물질에 노출된 후 즉각 발생합니다.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이 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무피로신이 모유로 이행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은 약물이 모유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유부가 무피로신을 사용하는 경우 수유를 중단해야 합니다.

     

     

    부작용

     

     

    무피로신 투여 시 발생 가능한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흔한 부작용은 국소적인 발열감, 두통 (사용자의 10% 이상에서 보고) 

     

    - 가려움증, 화상, 찌르는 듯한 통증, 비염, 인두염*, 기침 등 드문 부작용 (사용자의 1~10%에서 보고)

     

    - 발진, 메스꺼움, 홍반, 피부건조, 압통(누름통증), 부종, 접촉성 피부염, 삼출액 증가,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눈 또는 상처 부위의 국소적인 자극, CDAD, 안검염§, 설사, 구강 건조, 귀 통증 등 (사용자의 1% 미만에서 보고) 

     

     

     * 인두염(pharyngitis)

    인두는 목의 일부분으로 공기와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이므로 감염성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인두염이란 감염에 의해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출처: 약학용어사전

     

     

     

    반응형